반응형

프린터는 공장 출하값으로 사용해도 충분하지만, 품질을 최대화하려면 교정 작업을 해야 합니다.

기계 교정

모터 제어, 원점, 베드 레벨링으로 기계 교정이 완료됩니다.

프린터를 이동하거나 부품 점검 또는 교체를 했다면 꼭 교정을 해야 합니다.

모터 교정

스텝 모터는 서보 모터와 같이 주파수에 따라 진동,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튜닝을 꼭 해야 합니다. 기성품은 공장값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사용과 환경에 따라 기계적으로 조금씩 틀어지므로 튜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린터 LCD나 앱을 통해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앱에서 교정을 실행할 때에는 모터 소음 제거 항목을 체크하고 진행하세요~😉

모터 교정은 전류, 주파수, 필터를 조정하는 원터치 튜닝 작업입니다.

전류가 크면 현재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이 강해지지만 발열이 심해집니다. 낮은 값이 적용되면 모터의 위치가 틀어지고 출력물의 층이 수평으로 어긋나게 됩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모터는 빨라지고 관성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커집니다. 

X·Y축은 벨트 장력에 따라 조정됩니다. 벨트 또는 베드를 빠르게 털어서 공진음을 발생시키고 이를 음파센서로 측정하게 됩니다. 공진음이 자체 교정 허용치를 벗어나면 사용자가 직접 벨트 장력을 조정해야 합니다.

X·Y축의 모터가 일정 거리를 반복하여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고 전류와 주파수를 조정하여 소음을 줄입니다.


아래 교정 기능은 기본값으로 사용해도 충분하지만, 세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실행하면 됩니다.

유량 역학 캘리브레이션

Flow Dynamics Calibration | Bambu Lab Wiki

필라멘트 모델마다 물성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교정을 해야 합니다.
모서리에 틈새가 보일 때에도 교정을 해야 합니다.

마린 펌웨어를 사용하던 옛 프린터들은 K 팩터 값을 변경하면서 출력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교정을 해야 했습니다.

뱀부랩 P1S 프린터에서는 Studio에서 K 팩터 값 범위와 단계를 지정하면 한 번에 출력하여 최적의 K 팩터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0.025 줄이 제일 깔끔하게 출력되었습니다.

여기서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0.02~0.03 범위, 0.002 이하의 단계로 입력 후 출력하면 됩니다.

0.001 단위 교정 결과

유량 비율 캘리브레이션

Flow Rate Calibration | Bambu Lab Wiki

압출기 상태와 필라멘트 모델마다 유량이 달라지므로 교정을 해야 합니다.
위아래 면에 틈이 많거나 울퉁불퉁할 때에도 교정을 해야 합니다.

기본값은 0.98입니다.

교정 1단계

0번이 다른 것보다 제일 깔끔합니다. 이것도 확대해 보면 완벽하지 않습니다.

K 팩터 값을 보정했는데 왜 모서리가 튀어나왔을까?🤔🤔🤔

교정 2단계

역시 0번이 다른 것보다 깔끔합니다.

최종적으로 유량계수 0.98이 적용되었습니다.🤣

반응형